제목
작성자
내용
디럭스 웹 바이블 > 교회교육 > 장년부 >
상세
교회교육
장년부
[성경인물설교]직장주제(4)다윗
운영자
6,613
t;background: #ffffff; mso-pagination: none; mso-padding-alt: 0pt 0pt 0pt 0pt">
세상을 향한 배짱 믿음이 있는가
? (
다윗
)
(
삼상
17:31-54)
‘
눈에 보이는 것이 없다
’
는 말을 들을 수 있다
.
언제 눈에 뵈는 것이 없는가
?
대표적으로 사랑할 때 물불을 가리지 않는다
.
실제로 그런 경험을 해보았는가
?
누굴 사랑할 때는 하루 한 끼만 먹어도 배고픈 줄을 모르는 경험 말이다
(
당신에게 이런 경험이 없었다면 지금 나눌 다윗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
).
실제로 과학적으로도 입증이 된다고 한다
.
사랑을 하면 세포의 활동이 활발해진다
.
세포의 핵을 싸고 있는 전자가 돌아가는 회전 속도가 빨라져서 누구를 사귀는 것을 얼굴 표정에서도 쉽게 들킨다는 이야기다
.
어쨌든 사랑하면 배짱도 생기고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행동도 하게 되는 것을 이해해야 다윗이 골리앗을 물리친 사건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
.
객기 아닌 용기를 가지려면 안목이 중요하다
다윗이 골리앗을 물리친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골리앗을 바라보는 안목 때문이었다
.
다윗은 골리앗을 제대로 보았다
.
그러나 사울 왕이나 이스라엘 백성들은 골리앗을 몰랐다
.
먼저 이스라엘 사람들은 골리앗을 어떻게 보았는가
?
전쟁터에 나가 있던 이스라엘 모든 사람들은 골리앗을 보고 심히 두려워하여 도망했다고 한다
.
골리앗이 하나님을 모욕하는 망발과 욕설만을 듣고도 그저 두려워하기만 했다고 한다
.
또한 고대 사회에서 국가 간의 전투에서는 흔히 장수들끼리 싸웠던 것을 생각하면 골리앗과 당연히 맞서야 했을 사울 왕조차
,
그저 골리앗을 죽이는 자가 있으면 많은 상을 주고 공주와 결혼시키겠다는 포상만 내세울 뿐이었습니다
.
그러나 다윗은 달랐다
.
하나님을 모욕하는 적장을 보고 거룩한 분노를 표현했다
.
할례도 받지 못한 짐승 같은 녀석이 하나님을 모욕한다면서 분노했다
.
다윗이 사울 왕 앞에 가서 하는 말을 들어보면 매우 중요한 믿음이 들어있다
.
다윗은 골리앗을 자기가 쳐 죽인 짐승과 같이 보았다
(36
절
).
이것이 바로 다윗이 다른 사람들과는 다른 안목을 가진 점이다
.
다윗은 골리앗을 아무 힘도 없는 무능한 존재로 본 것은 아니었다
.
양떼에서 새끼를 잡아채 가던 짐승들과 같은 존재로 보았다
.
그 맹수들과 맞설 때 다윗이 자신의 힘만으로 싸우면 이기기 힘들었지만 하나님이 도우셔서 맹수를 이길 수 있었다고 담대히 말한다
(37
절
).
그 하나님이 골리앗의 손에서도 능히 건져내실 줄을 확신했던 것이다
.
거대한 조직체이자 악한 영이 주관하는 세상에 맞서기 위해서는
‘
객기
’
아닌 이런
‘
용기
’
가 필요하다
.
이 용기를 가지기 위해서는 세상을 바르게 볼 줄 아는 눈이 필요하다
.
사실 세상
(=
사탄
)
의 속성은 양을 움켜 가는 짐승들과 비슷하다
.
하나님을 떠나 하나님을 대적하는 사탄은 약한 성도들을 미혹하여 자기 사람으로 삼는다
.
이런 세상의 속성을 바르게 이해하고 있는가
?
혹시 당신은 세상을 너무 과대평가하기 때문에 세상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
?
과소평가하다가 큰코다치는 것도 문제이지만 과대평가하다가 힘도 써보지 못하는 것도 큰 문제다
!
세상을 바르게 이해해야 세상을 맞서 싸울 수 있다
.
한마디로 줄이면 이것이다
.
세상도 강하다
.
그러나 내가 믿는 하나님은 더욱 강하다
!
하나님을 얼마나 사랑했으면 이런 용기가
?
다윗은 싸움에 나가면서 사울 왕이 준 방어 무기들은 익숙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마다했다
(38-39
절
).
대신에 다윗은 막대기와 물매를 들고 골리앗을 맞서 싸우러 나감으로서 이왕에 골리앗에 대해 인식하고 있던 대로
(36
절
)
양을 빼앗은 맹수 정도로 보는 자신의 생각과 같은 행동을 했다
.
막대기나 물매는 목자들이 양을 칠 때 쓰는 도구이지 전쟁 무기가 아니었다
.
그러나 다윗은 골리앗을 향해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기에 이렇게 자신의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
.
사람들은 흔히 세상을 향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서 세상이 사용하는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려고 한다
.
세상이 사용하는 편법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문제이다
.
그러나 다윗은 오직 하나님만을 의지하면서 그 전쟁에 임했다
.
그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있다
.
다윗은 골리앗을 맞서기 위해 시냇가에 가서 물맷돌을 다섯 개 준비했다
(40
절상
).
왜 하필 다섯 개였을까
?
지금 우리가 보는 이 전쟁은 블레셋의 모든 군대들이 쳐들어온 전면전이었을 것이다
. 17
장
1
절부터 여러 차례 등장하는
“
군대
”
라는 단어가 한 국가의 정규 군대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아도 이 전투는 블레셋과 이스라엘 간의 국가간 전면전이었다
.
그러니 블레셋의 거인족 장수들이 다 참여했던 것으로 보인다
.
그런데 사무엘하
21
장
15-22
절에 보면 블레셋에는 골리앗을 위시해 다른 네 명의 거인 장수들이 더 있었다
.
다른 네 장수들은 다윗이 왕위에 있을 때 그의 부하들의 손에 다 죽었다
.
다윗은 골리앗과 맞서 있을 때 그 뒤에서 군사들을 이끌고 있는 다른 거인 장수 네 명도 보았을 것이다
.
다윗은 그 거인들을 다 죽일 결심을 하고 돌을 다섯 개
(
나
?)
준비한 것이다
.
물론 돌 하나로 골리앗만 죽이자 블레셋 군대는 도망가기에 바빴기에 다윗은 더 이상 돌을 쓸 필요도 없었지만 말이다
.
어쨌든 다윗이 이런 결심을 하고 돌을 다섯 개 준비해 나섰다면 다윗은 사람들이 보기에 얼마나 무모한 짓을 하는 것인가
?
도대체 다윗은 살려고 이러는 것이었나
?
죽으려고 이런 것이었나
?
혼자서 블레셋의 다섯 거인 장수들을 다 맞서 싸울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는 이 모습은 객기는 물론 아니었다
.
이것이 바로 배짱 믿음이었다
.
이게 바로 사랑이다
.
앞에서 이야기한대로 사랑하면 용감하다
.
사랑에 눈이 먼 사람을 어떻게 말리는가
?
옆에 피해 있어야지
.
다윗이 하나님을 얼마나 사랑했는지 모른다
.
하나님이 욕먹는 것을 못 참았다
.
하나님을 욕하는 골리앗을 맞받아 다윗이 담대한
‘
선전 포고
’
를 한다
(45-47
절
).
그 선전포고 속에 다윗의 배짱 믿음이 고스란히 들어 있다
.
그의 분명하고도 우렁찬 목소리를 들어보자
.
“
…
나는 만군의 여호와의 이름 곧 네가 모욕하는 이스라엘 군대의 하나님의 이름으로 네게 가노라 오늘 여호와께서 너를 내 손에 붙이시리니 내가 너를 쳐서 네 머리를 베고 블레셋 군대의 시체로 오늘날 공중의 새와 땅의 들짐승에게 주어 온 땅으로 이스라엘에 하나님이 계신 줄을 알게 하겠고
…
”
하나님을 사랑하면 세상을 이길 수 있다
!
무엇을 준비할까
?
다윗이 이 전쟁에서 승리한 일은 소설이 아닌 현실이었다
.
다윗에게는 하나님을 자기 목숨보다 사랑하는 믿음이 있었다
.
이런 배짱 믿음이 세상을 이길 수 있게 하는 힘이다
.
아울러 다윗이 믿음만 가지고 있었기에 골리앗을 이긴 것은 아니다
.
그는 평소에 물매를 던지는 기술을 익히는 일에 전심전력했음을 알 수 있다
.
그가 골리앗을 쓰러뜨리는 장면을 자세히 보면
(48-49
절
)
빨리 달리면서 상대방의 공격도 피했고 가속도를 붙여 공격할 수 있었다
.
또한 얼마나 조준을 잘 했는지 빨리 달리면서도 움직이는 적의 이마를 맞출 정도였다
.
또한 물맷돌이 날아가는 속력이 얼마나 대단했는지 투구를 쓴
(17:5
상
)
골리앗의 이마 속에 돌이 박혀
‘
한방에
’
죽을 정도였다
.
물맷돌이 놋투구를 뚫고 골리앗의 두개골마저 뚫고 그의 뇌에 깊숙이 박혔던 것이다
.
이런 실력은 하루 이틀 노력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
.
이처럼 다윗은 목동으로서 물맷돌을 던지는 실력을 연마했다
.
오늘 당신에게도 이런 노력이 요구된다
.
각자의 업무에 따르는 전문 능력을 키우는 일이 중요하다
.
당신은 전문가인가
?
내가 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은 많이 있지만 내가 하는 일을 가장 탁월하게 하는 사람은 내가 되어야 한다는 욕심을 내어야 한다
.
오늘 당신이 하나님을 사랑해 세상을 향한 의분을 가지고 물맷돌 던지기를 열심히 연습하고 있으면 하나님이 골리앗을 당신 앞에 세우실 것이다
.
세상을 이기기 위해 준비할 것은 두 가지이다
.
하나는 골리앗과 같은 세상이라도 하나님이 나와 함께 하신다면 충분히 이길 수 있다는 믿음
,
즉 하나님을 내 목숨처럼 사랑하는 배짱 믿음이다
.
이런 배짱 있는 믿음을 가진 사람은 오늘 자기가 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면서 능력을 키운다
.
비록 양들을 치고 있고 오늘 맞서 싸우는 것이 이리요 늑대요
,
곰에 불과하지만 기회를 기다린다
.
골리앗이 나타나기를 은근히 기다린다
.
우리 크리스천들의 직업 능력이 세상을 향한 배짱 믿음과 결부될 때 우리는 세상을 능히 이길 수 있다
.
히브리서를 쓴 사람은 이런 멋진 사람들의 모습을 이렇게 표현한다
.
그들이 궁핍과 환난과 학대를 받았고 광야와 산중과 토굴에서 방황했으나
“
이런 사람은 세상이 감당치 못 한다
”(
히
11:38
상
).
바로 당신
!
[성경인물설교]직장주제(7)다니엘
[권혁승교수 칼럼] 이스라엘의 ‘쉐마’ 신앙교육(2): ‘쉐마’ 본문 내용의 구조적 이해